진로교육 집중학년·학기제란 초ㆍ중ㆍ고등학교 학생들에게 보다 실질적인 진로교육ㆍ체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하여, 진로전환기*를 중심으로 특정 학년 또는 학기 동안
진로체험 교육과정**을 집중적으로 운영하는 제도로, 크게 집중학기형과 집중학년형으로 구분됩니다. 진로교육 집중학년·학기제는 학생에게 다양한 진로교육을 학교급별로
집중적으로 제공함으로써 학생이 변화하는 직업세계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자신의 소질과 적성을 실현하여 개인의 행복한 삶과 국가 경제 및 사회의 발전에 기여하는
것을 목적으로 합니다.
* 학교급별로 진로(진학, 취업, 계열선택 등) 선택이 필요한 시기(초 5∼6, 중3, 고1)
** 다양한 직업세계에 대하여 직ㆍ간접적으로 체험이나 탐색의 기회를 통해 학생들이 변화하는 직업세계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, 소질과 적성을 최대한 실현할 수 있도록
진로체험 중심으로 편성ㆍ운영하는 교육과정
진로교육 집중학년·학기제는 진로교육법 제13조 및 동법 시행령 제6조에 근거하여 운영됩니다.
초등학교 입학 → (예비기)초등학교 1,2,3,4,(5)학년 / 진로인식 교과 통합 진로교육 실시 → 분산형 (5) 6학년 연중 일정하게 분산하여 진로교육 운영, 집중형 (5) 6학년 학년말이나 진로체험 주간 등의 특정한 시기에 진로교육 집중적으로 운영, 혼합형 (5) 6학년 분산형과 집중형이 혼합된 형태 →
중학교 입학 → 자유학기제 선행형(자유학기제 운영 이전학기 - 자유학기제 선행 진로교육 집중학기 운영), 자유학기제 통합형(자유학기제 운영 학기 - 자유학기제와 통합한 진로교육 집중학기 교육과정 운영), 자유학기제 후행형(자유학기제 운영 이후 학기/학년 중 택1 - 자유학기제와 연계한 진로교육 집중학기/학년 교육과정 운영) → 중학교2,3학년 / 진로 탐색 중심 교과통합 진로교육 실시 →
고등학교 진학 → 집중학기형(1학년 1학기 학교 자율과정을 활용한 진로탐색 활동 강화), 집중학년형(1학년 1학기 학교자육과정을 활용한 진로탐핵 활동 강화, 1학년 2학기 학교 자율과정을 활용한 진로체험 활동 강화) → 고등학교 2,3학년 / 진로 준비 교과통합 진로교육 실시